[Translation] 반억압적 사회복지실천과 교차성

Share

사회복지-페미니즘 연구모임 발제

발제자: 🔌또랑

발제 텍스트: Tina Mattson (2014). Intersectionality as a Useful Tool: Anti-Oppressive Social Work and Critical Reflection. Journal of Women and Social Work

 

서론: 억압과 비판사회복지실천

– 비판적·급진적 사회복지실천은 1960년대 이후 사회구조가 사회복지실천을 형성하는 방식과 억압으로 점철되어 왔음

– 사회적 문제는 대개 개인의 일상생활 대응 능력 부족의 결과로 이해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이 억압과 불평등을 유지하고 강화한다고 비판함

– 비판적 사회복지실천가 및 연구자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문제의 구조적 이해를 활용하여 구조적인 차원에서 불평등, 소외, 억압에 도전하고자 하는 야심을 가진 실천이 되어야 함

– 비판적이고 반대적인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관심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증가했고, 몇몇 비판적 사회복지실천 이론가들은 세계화와 시장 경제에 영향을 받고 의존하고 있는 세계에서 비판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해왔음

  • 세계화는 경제적인 표준화를 만들고 국가들 간의 경제적 의존도를 증가시키며, 기술, 금융, 통신 및 군사 자원의 서양 선진국의 독점권을 증가시킴
  • 이러한 맥락에서, 초국가적 기업과 국제 은행들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 권력은 쇠퇴하고 있으며 정책에 대한 민주적 통제는 감소하고 있음
  • 신자유주의 원칙이 지배적이 되고, 복지국가들의 서비스가 최소화됨에 따라 사회복지실천 관행의 조건에 영향을 미치고 음 (eg. 스웨덴에서 복지서비스의 공공 독점의 민영화, 사회서비스 생산자들 간의 경쟁, 사회보장제도 제한으로 인한 배제 등)
  • 이에 따라 다른 서구 사회뿐만 아니라 스웨덴에 비판적 실천과 비판적 사회복지실천가에 대한 사용 가능한 도구에 대한 요구가 있음

 

– 비판적 성찰은 이러한 요구 하에서 어떻게 사회적 구조가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하여 발전됨

  • 비판적 이론가들은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어떻게 사회복지실천이 비성찰적이고, 일상적인 관행의 일부로서 억압을 지지하는지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찰을 도입함
  • 억압을 일반인들의 무의식적인 사고와 감정의 결과로 이해함으로써, 억압과 부정이 어떻게 노골적인 인종주의, 동성애 혐오, 성차별주의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행동, 생각, 감정에 의해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강조할 수 있음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이것은 사회복지사가 선한 의도로 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사회 구조와 억압을 지지하고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함
  • 비판적 성찰은 이러한 과제를 다루며 억압을 강화하고 유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회복지사와 그녀의 무의식적인 가정과 행동에 초점을 맞춤

 

– 비판적 사회복지실천의 전통의 일부로서 억압과 불평등에 도전하기 위한 비판적 성찰의 도구로서 교차성을 소개함

  • 일반적으로 억압과 차별이 ‘일반적 용어general term’로 이해되기 때문에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과 관련된 억압과 불평등이 식별되지 않을 수 있음
  • 본 논문은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간의 상호 작용과 복잡성에 초점을 맞춘 교차성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핵심적인 권력 관계를 주요한 관심사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됨

 

  • 비판적 사회복지실천과 비판적 성찰
  • 임상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를 개별적인 차원에서 하기 어려운 딜레마가 존재함
  • 사회 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는 의뢰인의 일상 생활과는 거리가 먼 경향
  • 사회복지사들은 조직과 관료적 규칙, 관리자들이 요구하는 것, 그리고 공동체 문화와 관련하여 일하고 적응함
  • 이러한 맥락에서, 무력하고 개인적 책임을 회피하기 쉬우며, 구조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춘 이념적이고 정치적인 이상을 고수하기 어려움
  • Fook(2002): 사회구조가 사람들의 생활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구조가 사회복지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복지사의 사상, 감정, 반응에 초점을 맞추면서 비판사회복지실천을 소개함
  • 사회 구조와 세계화의 맥락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직업적 역할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주장함
  • 비판적 성찰은 사회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한 인식을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실천과 이론을 결합시키는 방법임
  • 비판적 성찰은 우리가 어떻게 사회 구조와 억압에 참여하고 지속되는지를 점차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우리의 경험과 지식을 해체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 과정에 의해,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구조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전형화된 이미지에 도전할 수 있는 방식이 만들어짐

 

– (비판) 푸크의 비판적 성찰에는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등이 내포되어 있지만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음

  • 사회적 구조와 억압을 탐구하고 드러내려는 목표를 가진 비판적 성찰은 소외, 억압, 부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권력관계이기 때문에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
  • 또한 이러한 권력 관계가 어떻게 습관적이고 당연하게 여겨지는지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이러한 권력 관계를 가시적으로 만들고 분석적인 초점을 유지하는 것을 특히 어렵게 만듦
  • 교차성 접근은 서로 다른 범주의 억압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억압과 불평등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교차성 접근법은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이 서로 얽혀 있고, ‘상호관계를 통해’ 강화된다는 핵심적 이해에 기초함(McClintock, 1995)
  • 어떠한 구조나 범주도 동질적이지 않으며, 성별, 성별, 계급, 인종 사이의 교차점 때문에 집단 내부와 집단 사이에 억압과 불평등이 발생함
  • 교차성은 젠더, 섹슈얼리티, 인종, 계급을 강조하고 사회복지사와 고객 사이의 불평등한 관계를 복잡한 방법으로 이해하고 문제화할 수 있도록 함

 

출발의 이론적 지점

– 사회복지실천에서 비판적 전통은 전통적으로 그 이론적 틀을 구조이론에서 찾았음 : Fook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이론에서 이론적 틀을 탐색함

  • variations, subordinated narratives, contradictions, complexities 등의 방식으로 논쟁하고 해체함
  • 포스트 구조주의 접근은 현실에 대한 이해를 외부와 내부 사고구조의 반영으로 가져옴
  • 즉, 사회 구조의 생산자 및 재생산자로서 개인에게 개방되는 이해이며, 포스트모더니즘은 지식의 생산을 문제 삼으며, 지식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함
  • 맥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이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가정에 의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강조함
  • 지식은 주관적인 가치와 판단과 밀접하게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외부적이고 객관적인 현실의 과학적 사상이 문제화됨
  • 포스트모더니즘의 목표는 다른 경험들에 대해 개방하고 지배적인 진실과 지식에 대해 질문할 여지를 주는 방식으로 그들에게 장소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
  • 이 접근법은 사회 문제, 고객 및 사회 직업 직업을 이해하는 지배적인 방법에 대해 질문할 수 있는 성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판적 성찰에 유용하고 중요함

 

  • Fook(2002): 지식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이해에서 출발하여 비판적 성찰을 위한 이론적 틀을 개발함 (사회구조가 개인수준에서 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함)
  • 그녀의 이론적 접근법이 비판적 성찰에 활용될 때, 그 성찰은 확실히 억압과 권력 관계를 가시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론과 실천을 함께 이끌어내는 방법이 됨
  • 저자의 푸코 비판
  • (1) 권력관계를 다룰 포스트모더니즘의 불가능성 – 포스트모던은 무엇이 진실인지 또는 더 정확한지에 대해 disinterested한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개방하고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또한 모든 지식과 경험이 동등하게 진실한 상대주의에도 개방되어 있음. 포스트모더니즘은 권력관계와 사회구조를 실제로 조사하고 설명하기 보다는 진리의 탈구조화에 초점을 맞춤. 비판적 성찰이 사회 구조를 탐구하고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상대주의에 빠질 위험을 포함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음. 이에 대해서 포스트모더니즘 접근과 푸코의 권력이론을 결합하여 해결하려 하지만, 여전히 (2)의 문제가 존재함.
  • (2)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과 관련된 사회 구조의 구체적인 측면을 강조하지 않는 권력에 대한 이해에 머물러 있음. 이에 대해서 교차성을 이용하여 포스트모던적 사고와 포스트구조적 이론을 결합할 수 있음. 교차성은 억압과 불평등을 지탱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간의 상호작용을 유지하고 이해하려는 특정한 틀을 제공함. 비판적 성찰은 억압과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강력한 이해가 필요함. 그러한 종류의 이해 없이 수행된 성찰은 억압과 부정을 강화시키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사회복지실천의 교차성

  • 다음 3단계는 비판적 성찰을 위한 3단계임
  • 1단계: 중요한 사건을 식별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그것은 멈추고 생각하게 하고, 일어난 일에 반응하게 만든 어떤 실천경험일 수 있다. 글쓰기는 그 사건을 끝까지 생각하고, 실제로 그것을 기억하고, 그것의 다른 부분들을 기억하는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스스로의 묘사를 적는다.
  • 2단계: 자신의 묘사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한다. 먼저 이 사건에서 작동되는 권력 관계를 식별하십시오. 교차성을 성찰의 근거로 삼음으로써,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에 대한 집중을 억압의 중심 범주로 하고 그들이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고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초점을 유지할 수 있다. 권력관계가 사회복지사,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할 때, 대안적 이해와 행동을 조사할 수 있다.
  • 3단계: 사회복지사가 사회적 변화의 수단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소속된 조직과 자신의 권력 구조를 인정함에 따라 가능한 이론과 실천에 대한 새롭고 해방적인 전략을 재구성, 재개발 한다.

 

교차성의 적용

  • 2단계는 성찰의 중요한 분석적 부분이며, 교차성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특히 이 단계에 영향을 미침. 이론은 비판적 성찰에서 중요함. 이론이 없다면, 그 성찰이 실제로 그 상황에서 힘의 영향을 드러내는 이해, 즉 사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져오기는 어려움.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과 관련된 권력 관계는 실제로 보고 인정하고 인정하기 어려움.
  • 예를 들어, 간접적으로는 남성/여성 사회복지사들이 이성애자, 중산층, 스웨덴 사람으로 되어 있어야 할 여성성과 남성성을 대표하게 됨
  • 일반적으로 당연하게 여겨지는 사회적 질서를 조명하고, 따라서 억압과 부정을 동시에 강화하고 지지하기 위해 비판적 접근을 사용하는 페미니스트와 포스트 식민주의 이론을 사용함으로써, 비판적 성찰은 보통 우리를 그것에 눈이 멀게 만드는 상식을 넘어선 이해력과 그 효과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함
  • 비판적 성찰은 이러한 구조들이 어떻게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의 경우에 억압과 부정을 강화시키는지에 대한 긴급한 해답을 줄 것이고, 그것은 그들에 대한 보다 복잡한 이해를 만들 수 있음
  • 권력관계의 효과와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이 어떻게 서로 교차하고 강화되는지를 이해할 때 사회복지사는 대안적 사고와 대안적 행동을 전개할 수 있음

 

결론

  • 지난 10년간 서구사회에서 증가하는 불평등, 차별, 소외로 인해 평등과 사회 정의에 대한 긴장과 요구가 생겨났으며, 비판적이고 반대적인 사회 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그것은 특히 그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그의 사고방식, 감정, 행동방식에 의해 억압과 사회구조를 강화시키는지에 초점을 맞춤
  • 비판적 성찰은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 인종 등의 권력 관계를 무력화시킬 위험이 있는 구체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사회 구조와 권력 관계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임
  • 비판적 성찰과 교차성을 결합하는 것은 권력관계와 억압에 관한 작업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임

 

You may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