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ion] 사회복지교육에서 문화적 역량의 딜레마와 비판적 인종 이론(CRT)
Abrams, L. S., &Moio, J. A. (2009). Critical race theory and the cultural competence dilemma in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5(2), 245-261. 발제일: 2020.06.13....
Abrams, L. S., &Moio, J. A. (2009). Critical race theory and the cultural competence dilemma in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45(2), 245-261. 발제일: 2020.06.13....
최문정. (2011). 탈시설 장애여성의 생애체험: 대상에서 주체로. 장애의 재해석, 한국장애인재단 논문집, 215-268. 발제자: ?물모 (2020.07.18.) Ⅰ. 서론 장소는 경계를 구성하는 권력관계의 조작을 통해 서로 구분됨....
김도현. (2012).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진보평론, 52, 172-190. 발제자: ?물모 (2020.05.02.) 1. 논의를 시작하며 정치적인 의미에서 당사자주의란 이해관계의 당사자가 누군가(전문가)의 대리를 거치지 않고...
나영정. (2016).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한국장애학회지, 1(1), 65. 발제자 : ?물모 (2020.02.15.) 1. 서론: 한국사회의 재생산권리와 장애여성의 삶 먼저, 재생산권리란 기본권으로서...
전혜은. (2018). 장애와 퀴어의 교차성 사유하기. 인문과학, 113(0), 267-318. 발제자: ?물모 (2020.02.08.) Ⅰ. 들어가며 장애와 퀴어의 교차성을 사유한다는 것은, 첫째, 퀴어인 사람은 당연히 비장애인일...
Mary Romero and Nancy Pérez (2016). Conceptualizing the Foundation of Inequalities in Care Work.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60(2), 172-188. 발제자: ?물모 (2019.11.23.) 서론 돌봄 이슈와...
발제 : ?용용 Lena Dominelli(2002). 5장 Working with children and families. 서론 사회복지 개입은, 가족 내에 문제 없는 것처럼 보이는 가족 환경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사실 가족은...
발제자 : ?유랑 코로나19와 여성폭력 (UN WOMEN 보고서) 트렌드와 이슈 지난 12개월 동안 15세에서 49세 사이의 여성과 소녀들 18%는 친밀한 관계 내에서 성폭력을 경험했다. 여성의 전체...
백경흔, 송다영, 장수정 (2017). ‘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보육정책. 한국가족복지학, 57, 182-215. 문제제기 중앙정부의 보육정책에 담겨져 있는 가치와 관점이 어떠한지 돌봄윤리를 기반으로 규범적 분석을 시도 저출산, 고령화로...
한설아(2018), 사회운동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미국 가정폭력반대운동의 흐름을 중심으로 발제자: ⚡찌리리볼 Ⅰ. 서론 ‘미투’운동과 같이, ‘여성혐오’와 그에 기반한 여성에 대한 폭력에 대응하여,...